황해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해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동안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1945년 기준으로 해주부와 17개의 군으로 구성되었다. 1944년 인구는 약 201만 명이었으며, 조선인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과 광업이 발달했으며, 금, 철, 석탄 등이 생산되었다. 교통망으로는 철도와 도로가 있었으며, 해주, 사리원 등에 기상관측소가 운영되었다. 주요 기업으로는 조선시멘트, 서선중공업 등이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해주방송국과 황해일보가 운영되었다. 독립운동가 김구 등이 이 지역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남도의 역사 -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은 2020년 9월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북한군에 의해 사살된 사건으로, 남북 관계 냉각, 9.19 군사합의 위반 여부, 월북 논란 등을 야기했으며 김정은 위원장의 사과에도 불구하고 진상 규명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황해북도의 역사 - 201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버스 사고
2018년 4월 22일, 개성에서 평양으로 이동하던 버스가 황해북도 다리에서 추락하여 다수의 중국인 관광객이 사망했으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중국 대사관 조문 및 시진핑 주석에게 위로 전문을 보내는 등 북한은 신속히 대응하며 중국과의 관계를 강조했다. - 황해도의 역사 - 한산주
한산주는 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신주를 설치하면서 한산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1개 소경, 27개 군, 46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 황해도의 역사 - 관내도 (고려)
개경을 중심으로 한 경기 지역과 황해도 일대를 관할했던 고려 시대의 행정 구역인 관내도는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개성부, 남경유수관 양주, 해주, 황주목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황해도 (일제강점기) | |
---|---|
지도 | |
행정 구역 정보 | |
행정 구역 명칭 | 황해도 |
로마자 표기 | ''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 |
영어 표기 | Kōkai-dō / Hwanghae-do |
한글 표기 | 황해도 |
한국 한자 표기 | 黃海道 |
일본어 표기 (평가나) | こうかいどう |
일본어 표기 (가타카나) | ファンヘド |
약칭 | '' |
통계 연도 | 1936 |
면적 | '' |
총인구 | 1,639,250 |
남자 인구 | '' |
여자 인구 | '' |
인구 밀도 | '' |
세대 수 | '' |
국가 | j |
상위 자치 단체 | '' |
하위 행정 구역 | 1부 17군 (1945년) |
ISO 3166-2 | ''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 |
나무 | '' |
꽃 | '' |
새 | '' |
공식 웹사이트 | '' |
기타 | |
일본어 표기 | 황해도, 고카이도 |
2. 인구
wikitext
1944년 실시된 인구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구가 분포했다.
- 전체 인구: 2,014,931명
- * 일본인: 25,095명
- * 조선인: 1,986,126명
- * 그 외의 민족: 3,710명
1936년(쇼와 11년) 현주호구조사에 따르면, 총인구는 1,639,250명이었다.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 내지인: 20,582명
- 조선인: 1,614,738명
- 기타: 3,970명
2. 1. 인구 변화
1944년 실시된 인구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구가 분포했다.
- 전체 인구: 2,014,931명
- * 일본인: 25,095명
- * 조선인: 1,986,126명
- * 그 외의 민족: 3,710명
1936년(쇼와 11년) 현주호구조사에 따르면, 총인구는 1,639,250명이었다.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 내지인: 20,582명
- 조선인: 1,614,738명
- 기타: 3,970명
2. 2. 민족 구성 (1944년)
쇼와 11년(1936년) 현주호구조사에 따르면, 황해도 전체 인구는 1,639,250명이었다. 이 중 조선인이 1,614,738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일본인(내지인)은 20,582명, 기타는 3,970명이었다.3. 행정 구역 (1945년 기준)
1945년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황해도에는 17개의 군(郡)이 있었다. 각 군과 관할 면은 다음과 같다.
- '''벽성군''' : 영천면, 금산면, 동운면, 추화면, 내성면, 일신면, 청룡면, 서석면, 가좌면, 월록면, 대차면, 장곡면, 운산면, 검단면, 미율면, 고산면, 나덕면, 동강면, 송림면, 해남면
- '''연안군''' : 연안읍, 호동면, 호남면, 해성면, 송봉면, 봉서면, 해룡면, 용도면, 괘궁면, 목단면, 금산면, 화성면, 은천면, 운산면, 유곡면, 해월면, 온정면, 도촌면, 석산면, 봉북면
- '''금천군''' : 금천면, 고동면, 서북면, 산외면, 백마면, 호현면, 동화면, 좌면, 서천면, 외류면, 토산면, 합탄면, 구이면, 현내면
- '''평산군''' : 남천읍, 평산면, 금암면, 서봉면, 고지면, 세곡면, 적암면, 마산면, 용산면, 신암면, 인산면, 상월면, 문무면, 안성면
- '''신계군''' : 신계면, 고면, 다면, 미수면, 율면, 마서면, 적여면, 사지면, 촌면
- '''옹진군''' : 옹진읍, 부민면, 용연면, 흥미면, 동남면, 북면, 가천면, 문정면, 서면, 용천면
- '''장연군''' : 장연읍, 낙도면,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 대구면, 백령면, 해안면, 용연면, 신화면, 순택면
- '''송화군''' : 송화면, 연방면, 봉래면, 장양면, 도원면, 연정면, 율리면, 운유면, 풍해면, 진풍면, 천동면, 상리면, 하리면
- '''은율군''' : 은율면, 일도면, 남부면, 서부면, 북부면, 이도면, 장련면
- '''안악군''' : 안악읍, 대원면, 용순면, 은홍면, 대행면, 서하면, 안곡면, 용문면, 문산면
- '''신천군''' : 신천읍, 온천면, 가련면, 두라면, 남부면, 용문면, 문화면, 궁흥면, 초리면, 문무면, 용진면, 산천면, 노월면, 북부면, 가산면
- '''재령군''' : 재령읍, 삼강면, 은룡면, 상성면, 하성면, 신원면, 장수면, 청천면, 서호면, 남율면, 북율면
- '''황주군''' : 황주읍, 겸이포읍, 인교면, 구락면, 도치면, 주남면, 청룡면, 삼전면, 영풍면, 구성면, 청수면, 흑교면, 천주면
- '''봉산군''' : 사리원읍, 동선면, 토성면, 산수면, 구연면, 덕재면, 쌍산면, 기천면, 초와면, 문정면, 서종면, 영천면, 만천면, 사인면
- '''서흥군''' : 신막읍, 서흥면, 매양면, 용평면, 내덕면, 목감면, 소사면, 세평면, 도면, 구포면, 율리면
- '''수안군''' : 수안면, 오동면, 천곡면, 대평면, 성동면, 율계면, 대천면, 연암면, 공포면, 도소면, 수구면
- '''곡산군''' : 곡산면, 운중면, 동촌면, 도화면, 서촌면, 화촌면, 봉명면, 상도면, 하도면, 이령면, 멱미면, 청계면
3. 1. 부 (府)
해주부는 일제강점기 황해도에 설치되었던 부이다.3. 2. 군 (郡)
일제강점기 황해도에는 17개의 군(郡)이 있었다. 각 군과 관할 면은 다음과 같다.- 벽성군 : 영천면, 금산면, 동운면, 추화면, 내성면, 일신면, 청룡면, 서석면, 가좌면, 월록면, 대차면, 장곡면, 운산면, 검단면, 미율면, 고산면, 나덕면, 동강면, 송림면, 해남면
- 연안군 : 연안읍, 호동면, 호남면, 해성면, 송봉면, 봉서면, 해룡면, 용도면, 괘궁면, 목단면, 금산면, 화성면, 은천면, 운산면, 유곡면, 해월면, 온정면, 도촌면, 석산면, 봉북면
- 금천군 : 금천면, 고동면, 서북면, 산외면, 백마면, 호현면, 동화면, 좌면, 서천면, 외류면, 토산면, 합탄면, 구이면, 현내면
- 평산군 : 남천읍, 평산면, 금암면, 서봉면, 고지면, 세곡면, 적암면, 마산면, 용산면, 신암면, 인산면, 상월면, 문무면, 안성면
- 신계군 : 신계면, 고면, 다면, 미수면, 율면, 마서면, 적여면, 사지면, 촌면
- 옹진군 : 옹진읍, 부민면, 용연면, 흥미면, 동남면, 북면, 가천면, 문정면, 서면, 용천면
- 장연군 : 장연읍, 낙도면,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 대구면, 백령면, 해안면, 용연면, 신화면, 순택면
- 송화군 : 송화면, 연방면, 봉래면, 장양면, 도원면, 연정면, 율리면, 운유면, 풍해면, 진풍면, 천동면, 상리면, 하리면
- 은율군 : 은율면, 일도면, 남부면, 서부면, 북부면, 이도면, 장련면
- 안악군 : 안악읍, 대원면, 용순면, 은홍면, 대행면, 서하면, 안곡면, 용문면, 문산면
- 신천군 : 신천읍, 온천면, 가련면, 두라면, 남부면, 용문면, 문화면, 궁흥면, 초리면, 문무면, 용진면, 산천면, 노월면, 북부면, 가산면
- 재령군 : 재령읍, 삼강면, 은룡면, 상성면, 하성면, 신원면, 장수면, 청천면, 서호면, 남율면, 북율면
- 황주군 : 황주읍, 겸이포읍, 인교면, 구락면, 도치면, 주남면, 청룡면, 삼전면, 영풍면, 구성면, 청수면, 흑교면, 천주면
- 봉산군 : 사리원읍, 동선면, 토성면, 산수면, 구연면, 덕재면, 쌍산면, 기천면, 초와면, 문정면, 서종면, 영천면, 만천면, 사인면
- 서흥군 : 신막읍, 서흥면, 매양면, 용평면, 내덕면, 목감면, 소사면, 세평면, 도면, 구포면, 율리면
- 수안군 : 수안면, 오동면, 천곡면, 대평면, 성동면, 율계면, 대천면, 연암면, 공포면, 도소면, 수구면
- 곡산군 : 곡산면, 운중면, 동촌면, 도화면, 서촌면, 화촌면, 봉명면, 상도면, 하도면, 이령면, 멱미면, 청계면
4. 역대 도지사 (1910년 ~ 1945년)
호적 | 이름 | 한자 표기 | 재임 기간 | 비고 |
---|---|---|---|---|
조선인 | 조희문 | 趙羲聞 | 1910년 10월 1일 ~ 1918년 9월 23일 | 황해도 장관 |
조선인 | 신응희 | 申應熙 | 1918년 9월 23일 ~ 1921년 2월 12일 | 장관, 1919년 8월부터 황해도지사 |
조선인 | 박중양 | 朴重陽 | 1921년 2월 12일 ~ 1923년 2월 24일 | |
내지인 | 이이오 도지로/飯尾 藤次郎일본어 | 1923년 2월 24일 ~ 1924년 12월 1일 | ||
내지인 | 야나베 에이자부로/矢鍋 永三郎일본어 | 1924년 12월 1일 ~ 1925년 8월 11일 | ||
내지인 | 이마무라 다케시/今村 武志일본어 | 1925년 8월 11일 ~ 1928년 3월 29일 | ||
조선인 | 박상준 | 朴相駿 | 1928년 3월 29일 ~ 1929년 11월 28일 | |
조선인 | 한규복 | 韓圭復 | 1929년 11월 28일 ~ 1933년 4월 7일 | |
조선인 | 정교원 | 鄭僑源 | 1933년 4월 7일 ~ 1937년 2월 20일 | |
조선인 | 강필성 | 姜弼成 | 1937년 2월 20일 ~ 1939년 12월 21일 | |
조선인 | 가네무라 야스오/金村 泰男일본어 | 1939년 12월 28일 ~ 1942년 1월 24일 | 김병태에서 개명 | |
조선인 | 야마키 후미노리/山木 文憲일본어 | 1942년 1월 24일 ~ 1942년 10월 23일 | 송문헌에서 개명 | |
내지인 | 우스이 주헤이/碓井 忠平일본어 | 1942년 10월 23일 ~ 1944년 8월 17일 | ||
내지인 | 미네 고로/美根 五郎일본어 | 1944년 8월 17일 ~ 1944년 12월 21일 | ||
내지인 | 야기 노부오/八木 信雄일본어 | 1944년 12월 21일 ~ 1945년 5월 2일 | ||
내지인 | 쓰쓰이 다케오/筒井 竹雄일본어 | 1945년 5월 2일 ~ 1945년 8월 15일 | 광복 | |
1919년 8월 이전에는 “황해도 도장관”이었다.
5. 사법 (1941년 기준)
해주지방법원은 1941년 당시 해주지방법원, 해주지방법원 서흥지청, 해주지방법원 사리원지청, 해주지방법원 송화지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5. 1. 법원
해주지방법원은 1941년 당시 해주지방법원, 해주지방법원 서흥지청, 해주지방법원 사리원지청, 해주지방법원 송화지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5. 2. 형무소
해주형무소가 있었다.6. 경찰 (1927년 기준)
- 황해도 경찰부
- * 해주경찰서
- * 연백경찰서
- * 남천경찰서
- * 신계경찰서
- * 옹진경찰서
- * 장연경찰서
- * 송하경찰서
- * 장련경찰서
- * 안악경찰서
- * 겸인포경찰서
- * 신천경찰서
- * 재령경찰서
- * 사리원경찰서
- * 서흥경찰서
- * 수안경찰서
- * 곡산경찰서
6. 1. 헌병 (1915년 기준)
1915년 당시 황해도에는 해주헌병대를 중심으로 여러 헌병분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해주헌병대에는 해주헌병분대, 연안헌병분대, 신막헌병분대, 곡산헌병분대, 수안헌병분대, 재령헌병분대, 송하헌병분대가 있었다.7. 세무 (1941년 기준)
해주세무서와 사리원세무서가 있었다.
7. 1. 세무서
해주세무서와 사리원세무서가 있었다.8. 기상 (1942년 기준)
쇼와 17년(1942년) 당시 황해도에는 해주와 신막에 기상관측소가 있었다.
9. 교통
경의선은 개성역에서 신의주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겸이포선은 황주역에서 갈라져 미쓰비시 제철소 겸이포 제철소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토해선은 토성에서 해주를 거쳐 동포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옹진선은 해주에서 옹진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장연선(후의 은률선, 장연선)은 수교에서 사리원을 거쳐 장연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사해선은 사리원에서 신원을 거쳐 해주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하성선은 신천에서 서해하성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정도선은 괘궁에서 정도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내토선은 신천에서 내토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 도로 (1927년 기준) ===
1927년(쇼와 2년) 당시 황해도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들이 있었다.
==== 1등 도로 ====
경성의주선과 김화남천선이 1등 도로에 해당되었다.
==== 2등 도로 ====
의정부-평양 선, 경성-해주 선, 해주-진남포 선, 해주-옹진 선, 강령-순위도-내창암 선, 옹진-진남포 선, 해주-봉산 선, 해주-룡탕포 선, 해주-양덕 선이 있었다.
=== 항만 (1931년 기준) ===
==== 지방항 ====
룡탕포항
나진포항
부포항
몽금포항
소야항
진강포항
9. 1. 철도 (1945년 기준)
경의선은 개성역에서 신의주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겸이포선은 황주역에서 갈라져 미쓰비시 제철소 겸이포 제철소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토해선은 토성에서 해주를 거쳐 동포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옹진선은 해주에서 옹진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장연선(후의 은률선, 장연선)은 수교에서 사리원을 거쳐 장연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사해선은 사리원에서 신원을 거쳐 해주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하성선은 신천에서 서해하성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정도선은 괘궁에서 정도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내토선은 신천에서 내토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9. 2. 도로 (1927년 기준)
1927년(쇼와 2년) 당시 황해도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들이 있었다.;1등 도로
경성의주선과 김화남천선이 1등 도로에 해당되었다.
;2등 도로
의정부-평양 선, 경성-해주 선, 해주-진남포 선, 해주-옹진 선, 강령-순위도-내창암 선, 옹진-진남포 선, 해주-봉산 선, 해주-룡탕포 선, 해주-양덕 선이 있었다.
9. 2. 1. 1등 도로
경성의주선과 김화남천선이 1등 도로에 해당되었다.9. 2. 2. 2등 도로
의정부-평양 선, 경성-해주 선, 해주-진남포 선, 해주-옹진 선, 강령-순위도-내창암 선, 옹진-진남포 선, 해주-봉산 선, 해주-룡탕포 선, 해주-양덕 선이 있었다.9. 3. 항만 (1931년 기준)
룡탕포항나진포항
부포항
몽금포항
소야항
진강포항
9. 3. 1. 지방항
룡탕포항나진포항
부포항
몽금포항
소야항
진강포항
10. 광업
황해도에서는 금, 철, 석탄 등 다양한 광물이 생산되었다.[1] 수안 금광에서는 각종 광물이 생산되었으며, 안악과 재령에서는 철산이 있었다. 봉산에는 탄광이 있었고, 미쓰비시제철 소유의 은산면 철산, 남양 철산, 겸이포 철산, 인율 광산, 백년 광산 등이 있었다.[1]
11. 신사
해주신사(海州神社), 겸이포신사(兼二浦神社), 연안신사(延安神社), 안악신사(安岳神社) 등이 있었다.
12. 주요 기업 (1940년 기준)
황해도 지역은 농업이 매우 발달하였다.
=== 제조업 ===
황해도에는 시멘트 제조업체인 조선시멘트와 조선아사노시멘트가 있었다. 또한 서선중공업도 황해도에 있었다.
=== 운수업 ===
황해자동차운수는 황해도에 있었던 운수업 관련 회사였다.
=== 도소매업 ===
해주에는 해주식산, 황해흥업, 계원산업, 대성실업 등의 회사가 있었다.
12. 1. 농림수산업
황해도 지역은 농업이 발달하였다.12. 2. 제조업
황해도에는 시멘트 제조업체인 조선시멘트와 조선아사노시멘트가 있었다. 또한 서선중공업도 황해도에 있었다.12. 3. 운수업
황해자동차운수는 황해도에 있었던 운수업 관련 회사였다.12. 4. 도소매업
해주에는 해주식산, 황해흥업, 계원산업, 대성실업 등의 회사가 있었다.13. 미디어 (1945년 8월 기준)
13. 1. 라디오 방송국
조선방송협회 해주방송국(호출 부호: JBKK)이 1945년 8월 당시 존재하였다.13. 2. 일본어 신문 (1941년 기준)
1941년(쇼와 16년) 당시 황해일보가 있었다.14. 출신 유명 인물
김구는 이 시기에 황해도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